반응형
"그 친구 오늘 이사간데." 와 "그 친구 오늘 이사간대."의 차이점이 느껴지시나요?
사실 말을 할 때는 같은 발음으로 써서 차이점이 없지만 글을 쓰면 그 차이점이 보이는데요.
어떤 때에 쓰는지 알아보겠습니다.

"-데"는 언제 사용할까?
"데" 는 화자가 직점 경험한 사실을 나중에 보고하듯이 말할 때 쓰이는 말입니다.
마치 "-더라"와 같이 쓰인다는 것이죠.
"그 친구 오늘 이사간데." 는 "그 친구 오늘 이사가더라." 와 같은 말이라는 것이죠.
"-데"의 다양한 예시를 들어볼게요!
"내가 어제 만난 그 친구 참 착하데. "
"어제 산 로또가 하나도 안 맞데."
"작년 겨울은 별로 안 춥데."
"이번에 새로 온 직원은 일을 참 열심히 하데."
그렇다면, "-대"는 언제 사용할까?
"대"는 직접 경험한 사실이 아니라 남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달할 때 쓰이는 말입니다.
마치 "-다고 해"와 같이 쓰인다는 것이죠.
"그 친구 오늘 이사간대." 는 "그 친구 오늘 이사간다고 해."와 같은 말이라는 것입니다.
"-대"의 다양한 예시를 들어볼게요!
"수영이네 회사에 새로온 직원이 일을 엄청 잘한대."
"들리는 소문에 옆집 남자가 로또 일등에 당첨됐대."
"기상청 예보로는 이번 겨울은 별로 안 춥대."
"유럽은 여름에 여행하기 가장 좋대."
정리하자면,
"-데"는 화자가 직접 경험한 사실을 나중에 보고하듯이 말할 때 쓰이는 말로 ‘-더라’와 같은 의미를 전달하는 데 비해,
"-대"는 직접 경험한 사실이 아니라 남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달하며 '-다고 해'와 같이 쓰입니다.
반응형
'L I F E - G O E S - O N >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논문 사이트 모음 / 논문 읽을 수 있는 사이트 모음 / 논문 검색 사이트 모음 (0) | 2022.07.07 |
---|---|
[헷갈리는 맞춤법] 뵙다 vs 봽다 / 나중에 뵈요 vs 나중에 봬요 / 뵈 봬 / 뵙 봽 (0) | 2022.05.25 |
[헷갈리는 맞춤법] 되 vs 돼 / 되다 vs 돼다 (1) | 2022.05.20 |
[한국어 교원 2급] 공부 과목 및 커리큘럼 후기 (휴넷평생교육원) (4) | 2020.12.16 |
[한국어 교원 2급] 후기 : 취득 기간 및 비용 (휴넷평생교육원) (3) | 2020.12.13 |